한우 자조금 로고

한우 유명한곳 로고

한우의 역사와 유래
우리와 함께해 온 한우의 역사를 알아보세요.
우리나라 역사 속의 한우
한우는 한반도에서 운반이나 농경 등 일소로 사육해 오던 고유의 소를 말한다. 한우는 얼굴이 긴 장액우로서 인도 견봉우 계통에 속하고 원우와의 교잡에서 생성된 종으로 추정되며 한반도에서 기원전 2000년경 전부터 농경 및 운반 등의 역용으로 사육해 오던 재래종 소이다.
한반도에서 출토된 소 뼈의 연대를 보면 구석기 시대이며 당시 원시야생소, 들소, 물소 등 가축화되기 전의 야생소가 서식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가축으로 키우기 시작한 청동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고조선의 유적지에서 다량의 소, 말, 돼지, 닭 등의 뼈가 출토되고 있어 우리나라 민족사의 시작과 함께 했다는 것을 알수 있다. 소와 관련된 가장 오래된 문헌은 ‘후한서’ 동이전으로 여기에서는 부여와 고구려, 예, 한 등에서 모두 소를 사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문헌상으로는 기원전 후한 시기에 한민족의 생활영역 전역에 걸쳐 소의 사육이 일반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소는 의례에 제물로 사용됐거나 짐이나 사람을 싣는 수레 등에 이용됐다고 한다. 또한 4∼6세기 농경사회로 접어들면서 소는 본격적으로 역우로 이용되면서 한우로 정착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민족과 함께 해온 한우는 단순히 농사용으로만 이용된 것이 아니라 생활 곳곳에 다양하게 활용되어 왔다. 소의 부산물은 의복이나 약재, 장식용 등으로 활용됐으며 또 국가간 외교 선물이나 하사품, 군사용으로 이용됐다. 뿐만 아니라 소는 생활문화에도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었다. 세시풍속과 설화, 속담 등에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기도 했다. ‘삼국지동이전부여조’에 ‘우가, 마가, 저가…’ 등 6축의 이름으로 관명을 삼았던 기록과 삼한시대의 써래에 과한 기록된 점 등을 볼 때 한우는 적어도 2000년 전부터 농경에 이용된것으로 볼수 있다.
고구려 시대에는 소의 보호증식을 위해 도살을 금지하는 보호법이 제정되고 우차(牛車)를 쓰기 시작했다. 백제에서는 육부(肉部)를 설치해 보호정책을 폈으며 신라는 당나라와의 무역품으로 우황을 수출하기 위해 소의 증산에 주력했다. 고려에서는 전목사(典牧司)가 정한 축우요식(畜牛料式)에 사료의 급여량을 계절과 노역의정도에 따라 규정하는 등 비교적 축우 사양방법을 권장했다.(육 등, 1980)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세조때 양우법을 초록으로 의생들에게 익히게 하여 소의개량 증식을 도모했으며 고종은 수원에 권모모범장을 설치하고 근대적 축산기술을 도입하고 한우개량사업을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