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자조금 로고

한우 유명한곳 로고

한우수출포털 로고

보도자료

  • 한우자조금, ‘한우분뇨 이용 활성화 대책 방안 마련 연구’ 결과 발표

  • 등록일
    2023-03-03
  • 첨부파일
    없음

 

한우자조금, ‘한우분뇨 이용 활성화 대책 방안 마련 연구’ 결과 발표
한우분뇨의 고품질 자원화 방안 및 고품질 퇴비 농지환원 효과 분석

□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가 발주하고 한국축산환경학회(연구책임자 이명규 교수)가 수행한 ‘한우분뇨 이용 활성화 대책 방안 마련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 한우분뇨의 고품질 자원화 방안 마련과 한우퇴비의 농지환원 효과 분석및 한우분뇨 중심 지역단위의 경축순환 활성화 거버넌스를 구축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했다.

□ 먼저, 51개 한우농가 퇴비에 대해서 한우퇴비 품질인증기준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100점 만점 중 평균 64.5점으로 조사되어 7~14일 간격 로타리 이용 교반방법 등 고품질 한우퇴비를 생산하기 위한 퇴비 관리 매뉴얼(안)을 제시하였다.

□ 그리고 한우분뇨의 고품질 자원화 방안 마련을 위해 퇴비의 농지환원 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우퇴비를 활용한 사료용 옥수수 생육, 사료가치 및 토양변화에 있어서 
사료용 옥수수의 식물 당 조단백, 조지방, 조섬유, 회분, 인, ADF, NDF와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의 함량에 있어서 토양의 유기물 함량 증진에 한우퇴비가 효과적임을 밝혀내었다.

□ 다음으로, 국내 조사료의 생산 수급 및 한우농가 활용 현황을 조사하여 토양의 양분 복원을 위한 볏짚환원사업 보다는 한우 발효퇴비를 사용하는 것이 
유기물 공급은 물론 토양의 화학성, 물리성, 생물성까지 개선할 수 있다는 볏짚환원사업의 시사점을 밝히며 지역 단위 경축순환 활성화 거버넌스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 앞의 내용을 바탕으로 지자체 조례 정비 및 개발에 대한 근거제시와 경종농가 및 한우농가 실정에 적합한 한우분뇨 고품질 자원화 지원책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다.
○ 우상관리 및 환경개선제의 지원
○ 퇴비품질인증제도 및 퇴비 살포 인센티브 제도 구축
○ 자가 농지환원 강점 극대화 인센티브 정책 지원
○ 한우퇴비의 부숙도 검사 면제를 위한 전문 위탁관리 전략
○ 한우농가의 지역 조사료 생산 및 자급화 의무 전략
○ 한우분뇨 마을공동퇴비사 및 퇴비유통전문조직의 역할 강화 등

□ 금번 연구를 통해 분석된 한우 퇴비의 농지환원 효과 및 한우분뇨의 고품질 자원화 방안을 바탕으로 한우농가 현실에 맞는 지원책 도입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별첨] 연구결과 요약 1부.

 

「한우분뇨 이용 활성화 대책 방안 마련 연구」
결과 요약

□ 연구개요
  ○ 연구기관 : 한국축산환경학회(연구책임자 : 이명규 교수)
  ○ 연구기간 : 2022년 2월 1일 ~ 2022년 12월 31일(11개월)
  ○ 연구내용
     - 한우분뇨의 고품질 자원화 방안
     - 한우퇴비의 농지환원 효과 분석
     - 한우분뇨 중심 지역단위 경축순환 활성화 거버넌스 구축

□ 한우분뇨의 고품질 자원화 방안
  ○ 한우퇴비의 품질인증기준(안) 개발 및 적용
     - 51개 한우농가 퇴비에 대해서 한우퇴비 품질인증기준(안)을 적용 시 100점 만점 중 평균 64.5점으로 조사됨(최저 44.0점, 최고 92.5점)
  ○ 고품질 한우퇴비를 생산하기 위한 관리 매뉴얼(안) 제시
     - 깔짚은 7~14일마다 로터리 등을 이용하여 교반해주어야 함. 교반 등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깔짚은 25~35일마다 교체해주는 것이 바람직함
     - 퇴비사의 종류에는 일반퇴비사, 송풍식퇴비사, 교반식퇴비사가 있음. 일반 일반퇴비사 이용 시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구간에는 주 1~2회 수동으로 교반해주며, 온도가 일정하거나 감소하는 구간에는 달 1~2회 수동으로 교반해야 함. 송풍식퇴비사 이용 시 송풍기를 상시 켜두며, 송풍구가 분뇨 및 퇴비에 막히지 않도록 수시로 보수해주어야함. 교반식퇴비사 이용 시 대부분 자동으로 작업이 진행되므로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되지만, 기계의 유지 및 보수에 신경써야 함

□ 한우분뇨의 고품질 자원화 방안퇴비의 농지환원 효과 분석
  ○ 한우퇴비를 활용한 사료용 옥수수 생육, 사료가치 및 토양변화에 대한 평가
     - 무처리, 상업용가축분혼합퇴비(100%), 한우퇴비(100%), 화학비료(100%), 한우퇴비(50%)+화학비료(50%)로 처리구를 구분하여 사료용 옥수수(광평옥)을 재배·시험하였음. 사료용 옥수수의 식물 당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fiber, crude ash, P, ADF, NDF,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 한우퇴비+화학비료가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토양의 유기물 함량 증진에 한우퇴비가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나타냄

□ 한우분뇨 중심 지역 단위 경축순환 활성화 거버넌스 구축
  ○ 국내 자급 조사료의 생산·수급 및 한우농가 활용 현황
     - 조사료 생산지역은 주로 전라도 지역이며, 수요 및 공급이 지역 간 편중된 구조를 갖고 있음. 또한, 특정 시기(5~7월)에 집중적으로 유통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비효율적 운영비 관리 및 보관 등의 문제가 가중되는 구조임. 위생적으로 안전한 국내산 조사료를 한우농가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연중 보급을 위한 물류체계, 제품 및 포장 다양성에 주안점을 두고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국내 조사료의 유통 포장 및 저장의 효율성을 위하여 저수분사일리지 및 건초 등 형태로의 다양성 필요함
  ○ 볏짚환원사업 시사점
     - 2021년 기준으로 국내 조사료 생산량은 합계는 4,315 천톤으로 작물별 조사료 생산 비중은 볏짚 69.9% (3,016 천톤) > 동계작물 19.4% (839 천톤) > 하계작물 7.1% (307 천톤) > 목초 3.5% (153 천톤) 순으로 나타남. 자급 조사료 중 볏짚을 제외하면 조사료 자급률은 30% 이하 정도로 볏짚이 대단히 큰 비중을 차지하며, 의존도가 가장 높음
     - 논의 지력을 유지하고 각종 양분수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어떤 형태로든지 토양 유기물 보충하여 주는 것이 원칙임. 그 대안으로 유기자원인 축분 발효퇴비를 반드시 논토양에 환원하여 주어야 함. 한우 발효퇴비의 시용은 유기물 공급은 물론 토양의 화학성, 물리성, 생물성까지 개선할 수 있음. 또한 볏짚수거로 수탈된 논토양의 각종양분을 공급하고 축산과 경종을 연계할 수 있는 경축순환의 중심축임
  ○ 조사대상 지역의 한우분뇨 중심 경축순환농업 추진 현황(강원 횡성)
     - 횡성군의 지역단위 경축순환농업 거버넌스 모델이라 할 수 있는 “횡성군 경축순환농업 추진 협의회(T/F팀)”은 횡성군과 다양한 분야의 지역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당면과제에 대한 협회 및 포럼 등을 운영하고 있음. 또한, 횡성군은 관내 경축 순환농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조례 관련 노력도 꾸준히 기울여 왔음. 2022년에는 “횡성군 경축순환농업실현 추진협의회 운영규정(시행 2022.03.24.)”을 제정하였음

□ 조례 정비 및 개발
  ○ 축산환경과 관련된 제도는 크게 가축분뇨, 축산악취와 같은 환경오염 관련 정책, 축산물의 안정성 관련 정책, 가축 사육환경 관련 정책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최근 지구온난화 문제에 대한 탄소중립 대응 방안으로서 2050 탄소중립 기본방향과 함께 축산분야의 대응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음. 또한, ‘전북 남원시’의 경우, 가축분뇨 이용 활성화 관련 조례(안)이 연구의 일환으로 제시된 바 있으며, 지역단위의 경축순환농업을 정의하는 동시에 가축분뇨 유래의 자원화 지원사업에 대한 근거를 마련함

□ 종합제언
  ○ 한우농가 실정에 적합한 한우분뇨 고품질 자원화 정책 지원책 제안
     - 우상관리 및 환경개선제의 지원
     - 자가 퇴비화 운영 지도 및 위탁관리 지원
     - 친환경 퇴비사 설치 지원
     - 퇴비품질인증제도 및 퇴비 살포 인센티브 제도 구축
     - 자가 농지환원 강점 극대화 인센티브 정책 지원

  ○ 지역단위 한우분뇨의 경축순환농업 활성화 정책 지원책 제안
     - 지역단위 한우퇴비 품질 표준화 전략
     - 한우퇴비의 부숙도 검사 면제를 위한 전문 위탁관리 전략
     - 한우농가의 지역 조사료 생산 및 자급화 의무 전략
     - 한우퇴비의 화학비료 대체, 토양 탄소저장 및 탄소격리 농법, 토양생태복원재 이용 등 기술전략 수립
     - 한우분뇨 마을공동퇴비사 및 퇴비유통전문조직의 역할 강화
     - 한우퇴비 기반 경축순환 시범사업 모형 개발